콘텐츠
자연이야기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댓글 0

조회 127

2025-05-30 16:03:41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오늘은 오랜만에 자연에 대한 콘텐츠를 다뤄볼까 합니다.

 

주제는 자연 생태계의 먹이 사슬 구조 입니다. 

 

우리가 초등학교 때 배웠던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 먹이 사슬

 

생태계 내에서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을 먹는 관계를 선형으로 보여주는 구조로,

“누가 누구를 먹는가”를 한 줄로 나타낸 것입니다.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먹이 사슬은 먹고 먹히는 관계를 표현하려고 쉽게 도식화한 것이고,

 

실제 자연 생태계는 그물 형태로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이를 먹이 그물이라고 부릅니다.


 

 

■ 먹이 그물

 

먹이 사슬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식화한 이미지라고 한다면, 

 

실제 자연 생태계는 여러가지의 먹이 사슬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먹이 그물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자연 생태계의 먹이 그물이 복잡할수록 생태계는 더 안정적입니다

.

왜냐하면 한 종이 사라지더라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종이 있기 때문이죠.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먹이그물 생태계는 육상 수상 모두 동일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많은 생물군이 있을수록 순환이 잘 되는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그 안에서 다양한 종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2. 가장 다양한 생태계 - 열대우림 (rainforest)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생태계 중 다양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환경은 열대우림입니다.

 

전 세계의 생물 종의 약 50%가 열대우림에 서식하고 있죠. 

 

가장 유명한 자연 생태계인 아마존도 열대우림에 속합니다.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지면, 수관층, 고수층 등 입체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서식지, 은신처로 활용이 가능하고

 

일정한 온도와 강수량이 유지되어 생명체들이 살아가기 좋은 기후를 갖고 있습니다.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열대우림 사진을 보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많은 생물이 살아갈 것 같습니다.

 

반면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에게는 살아가기 가장 열악한 기후에 속합니다.

 

(그래서 종의 다양성이 유지 될 수 있는..?)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애플트리태일즈, 와글와글열대우림 ) 

 


 

 

 

 

 

 

3. 생태계의 파괴.


자연 생태계의 순환 구조를 망치는 것은 단연 인간의 개입일겁니다. 

 

대표적으로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식지 파괴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도시개발, 댐,골프장 건설, 벌목 등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는 행위

 

 

 

2. 기후 변화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기상이변으로 녹아버린 빙하.)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인한 기후 상승으로 생태계의 균형 붕괴가 있습니다.

 

가뭄이 심해지거나, 강수량이 평년 평균치를 훌쩍 넘는 등의 기상 이변은

 

생태계의 큰 변화를 초래합니다.

 

 

 

 

3.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개개인의 행동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 야생동물 먹이주기

 

- 외래종의 방생 



생태계의 파괴는 모두 인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것 같습니다. 


 

 

 

 

 

※ 마치며. 

 

자연은 우리가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가장 큰 유산입니다.

 

매년 역대급 기상 이변을 겪고 있는 이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범국가적인 협조로 모두가 자연을 지키는 노력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 0

💬 댓글 작성 ( 0 / 500 byte )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콘텐츠 장애인 도우미견의 종류 -리트리버 말고도 장애 보조견이 있다???-[0] M드루이드 25.07.24 23 0
동물이야기 X-Men의 울버린은 잊어라, 고독한 사냥꾼 울버린[0] M모니터링맨 25.07.17 47 0
콘텐츠 반려동물 프랜차이즈 스토어를 알아보자 ![0] M드루이드 25.07.15 49 0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2탄, 반려동물 서비스 플랫폼 -[0] M드루이드 25.07.04 82 0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1탄, 반려동물 이커머스 -[0] M드루이드 25.07.03 91 0
동물이야기 날지 못하는 앵무새가 있다? 카카포[0] M모니터링맨 25.06.26 83 0
뉴스/정책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0] M드루이드 25.06.24 100 0
동물이야기 황폐한 사막의 요정, 사막여우[0] M모니터링맨 25.06.23 74 0
강아지 Tip 강아지 고가의 고난이도 수술 종류와 수술비[0] M드루이드 25.06.10 145 0
콘텐츠 국내 동물보호 단체들을 알아보자 - 국내 동물보호단체 리스트와 후원 규모 -[0] M드루이드 25.06.10 122 0
자연이야기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0] M드루이드 25.05.30 127 0
동물이야기 호주의 주머니 동물들 (캥거루, 왈라비, 쿼카 등) [0] M드루이드 25.05.15 170 0
동물이야기 하루 20시간을 자는 동물 코알라[0] M모니터링맨 25.04.24 185 0
동물이야기 엄청난 점프력의 소유자 퓨마[0] M모니터링맨 25.04.15 207 0
뉴스/정책 제 3차 동물복지 종합 계획 (2025~2029)[0] M드루이드 25.04.02 226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2탄 - 해양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4.02 196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1탄 - 육상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3.16 205 0
뉴스/정책 반려동물 언론사를 알아보자 ! (반려동물 관련 신문사)[0] M드루이드 25.03.08 247 0
동물이야기 깊은 바다 속 미스터리 심해어[0] M모니터링맨 25.02.19 272 0
동물이야기 최강의 수생 사냥꾼 자이언트 수달[0] M모니터링맨 25.02.12 259 0
글쓰기
검색

🚨게시글 신고🚨X

글제목

작성자

신고자

※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허위 신고는 활동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

📨 쪽지보내기X

닉네임

닉네임 확인하기

* 닉네임을 정확히 입력해야 쪽지가 발송됩니다.

쪽지 내용 ( 0 / 500 by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