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뉴스/정책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댓글 0

조회 764

2024-10-29 15:54:25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반려 가구에 대한 콘텐츠를 다뤄볼까 합니다. 

 

우리나라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얼마나 될까요?

 

반려 가구에 대해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은 뉴스를 쉽게 접해볼 수 있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뉴스들을 보면 대략 5~600만 가구, 1000~1500만 명이 반려 가정이구나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대한민국 인구의 약 30% 가량이 양육 중이라고 하죠. 

 

이런 내용이 자주 매스컴에 노출되다 보니 저도 자연스레 천오백만쯤 되는구나 싶었습니다.

 

그럼 천오백만이라는 지표와 숫자는 어디서, 어떻게 나오게 된 걸까요?

 

자료의 시작을 찾아보니 대표적으로 농림부의 자료가 있었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5천명 대상 설문조사) 

 


 

농림부는 반려가정이 2012년부터 359만 가구에서 

 

2019년에는 591만 가구로 증가했다 통계를 내놨습니다.  



다른 보고서에는 반려가구와 관련된 통계 자료가 어떨까요??

 

다음은 국민은행 주관으로 매년 진행되고 있는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의 내용입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 kb금융그룹 , 1천명 대상.) 

 

 

 

여기서도 반려 가구는 '552만 가구'라는 수치를 보입니다. 


이 외의 다른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기에

 

업계의 많은 이들이 반려 가구가 500만이 훌쩍 넘는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0년에 엄청난 반전이 일어납니다. 

 

설문조사를 하던 조사 대상을 수백만 단위로 늘려보니 

 

기존에 알려진 데이터와 꽤 달랐습니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먼저 보겠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출처 : 데일리벳 신문, https://www.dailyvet.co.kr/news/policy/154016 )

 

인구 총 주택조사 결과 300만...??  

 

 

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수치 대비 절반밖에 안되었던겁니다. 

 

이 사실은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2020년도부터 반려동물 양육 유무를 묻는 

 

설문조항이 신설되면서 비교적 정확한 수치가 알려진것이죠.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진행되며 조사 대상은 400만 가구입니다. )


그럼 각 단체에서 시행했던 설문조사 데이터를 하나씩 비교해보겠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인구주택총조사 - 400만 "가구"/ 농림축산식품부 - 5천명 / KB금융지주 - 1천명 
인구주택 총 조사는 400만 가구이기 때문에 인구로 환산하면 약 900만명입니다. (가구당 2.3명)

 

 

 

 

통계청에서 조사한 "인구주택총조사"의 자료를 요약해보자면

 

국내 반려가구는 약 300만 가구이며, 반려인구는 약 600~700만 정도로 추정됩니다. 

 

기존에 보편적으로 알려진 수치와 비교하여 반토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통계청 설문조사가 신뢰도가 높은 이유는 


다른 조사들에 비해 조사 대상자의 수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통계청의 발표로 지금까지 반려가구 설문조사를 해오던 농림부가 난감해진 상황입니다.

 

농림부에서 지속 발표하던 반려가구의 수를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자료출처 : 데일리벳 신문)

 

 

 

2020년에는 600만마리가 1년만에 80마리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아무래도 농림부 조사는 표본이 5천명밖에 안되니 결과가 들쑥날쑥 합니다. 


단순히 비교해봐도 400만가구를 계산한 통계청의 수치가 훨씬 정확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적으로는 2020년 통계청의 수치가 발표되고

 

통상적으로 알고 있었던 예상치의 절반밖에 안되는 사실은 

 

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예상 대비 절반이라니....) 


이와 관련하여 통계청장님은 2021년도 국정감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반려가구의 수는 인구주택 총 조사가 맞다."

 

“농식품부가 실시하는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반려가구를 추정하는 문항이 포함된 설문조사.)는 

신뢰성 문제 때문에 미승인 통계다. 승인요청을 갖출 것을 지난 2월 권고한 바 있다."


통계청장님의 말씀을 쉽게 바꿔 말해보자면, 

 

농림부 : "설문조사를 했는데 반려가구가 500만이 넘는다.  통계 자료로 승인해달라"

 

통계청 : ㄴㄴ 신뢰성이 낮아서 공식 통계로 불허함. 


(쉽게 표현하자면 이런 뉘앙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인구 총 조사 대비 그 수치의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농림부와 통계청 자료를 비교해보겠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출처 : 데일리 개원 - [2020 인구주택표본총조사 표본집계] 통계청)

 

 

 

농림부와 통계청의 조사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제 지인을 백여명을 대상으로 봐도 반려가정은 약 10~15%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

 

통계학적으로 봤을 땐, 통계청 조사의 신뢰도가 훨씬 높지만


그럼에도 아직까지도 
잘못된 수치가 인용구로 쓰인다는 점이 좀 아쉽습니다. 

 

몇 가지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1) 2024 서울시 자료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 2024년 5월 서울시청 산하기관인서울디지털재단에서 발표한 "서울 펫 스마트라이프" 보고서. 

 

 

 

 

2) 공중파 유튜브 뉴스들 (2024.10월)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공중파 뉴스들도 아직 1500만 이라고 표기하고 있음.) 

 

 

 

일부만 조사했지만, 여전히 1,500만 가구라는 표현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반려가구의 수를 더 많아 보이기 위해서 그러는 걸까요...?



물론 

 

2024년 지금의 반려시장을 들여다보면 

 

과거의 수치와 달라졌을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코로나 이후로 반려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건 사실이니깐요.

 

과거에 비해 반려가정이 더 많아졌다는 사실과 

 

반려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 만큼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유모차 판매량 수를 추월한 개모차. 2024.01.24)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분유 판매량을 추월한 사료 판매량, 한국경제,  2024.06.02) 

 

 

 

1500만 반려인구, 사실일까? - 반려 가구 팩트체크와 통계의 오류

(반려시장의 성장, 삼정 KPMG 경제연구원) 

 

 

 

 

다음 2025년에 시행되는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또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아마 2020년보다는 증가한 수치를 보이겠죠?

 

그때가 된다면 매스컴에서도 반려가구 수를 표현하는 인용구에

 

큰 변화가 찾아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마 그때 쯤이면, 1500만 반려가구라는 말은 못쓰지 않을까 하네요. 

 

 

 

 

끝!

 

 

 

 

** 3줄 요약

 

1. 지금까지 반려가구 600만, 반려인구 1500만이라고 소개했는데
   실제 
조사 결과 이보다는 훨씬 적은것으로 드러남. 


2. 2020년 말 기준, 
반려가구 300만, 반려인구 7-800만으로 추정되지만
   아직도 매스컴이나 단체들은 과거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 중. 

 

3. 그래도 반려가구 수와 펫 시장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사실은 맞음. 



댓글 💬 0

💬 댓글 작성 ( 0 / 500 byte )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콘텐츠 도지(DOGE)코인은 실존하는 시바견에서 생긴 걸 아시나요?[0] M모니터링맨 25.08.01 52 0
동물이야기 한국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0] M모니터링맨 25.08.01 59 0
콘텐츠 장애인 도우미견의 역할과 훈련 과정 (장애인 도우미견 2탄)[0] M드루이드 25.07.30 63 0
콘텐츠 장애인 도우미견의 종류 -리트리버 말고도 장애 보조견이 있다???-[0] M드루이드 25.07.24 77 0
동물이야기 X-Men의 울버린은 잊어라, 고독한 사냥꾼 울버린[0] M모니터링맨 25.07.17 75 0
콘텐츠 반려동물 프랜차이즈 스토어를 알아보자 ![0] M드루이드 25.07.15 87 0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2탄, 반려동물 서비스 플랫폼 -[0] M드루이드 25.07.04 117 0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1탄, 반려동물 이커머스 -[0] M드루이드 25.07.03 123 0
동물이야기 날지 못하는 앵무새가 있다? 카카포[0] M모니터링맨 25.06.26 113 0
뉴스/정책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0] M드루이드 25.06.24 131 0
동물이야기 황폐한 사막의 요정, 사막여우[0] M모니터링맨 25.06.23 110 0
강아지 Tip 강아지 고가의 고난이도 수술 종류와 수술비[0] M드루이드 25.06.10 179 0
콘텐츠 국내 동물보호 단체들을 알아보자 - 국내 동물보호단체 리스트와 후원 규모 -[0] M드루이드 25.06.10 155 0
자연이야기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0] M드루이드 25.05.30 155 0
동물이야기 호주의 주머니 동물들 (캥거루, 왈라비, 쿼카 등) [0] M드루이드 25.05.15 198 0
동물이야기 하루 20시간을 자는 동물 코알라[0] M모니터링맨 25.04.24 211 0
동물이야기 엄청난 점프력의 소유자 퓨마[0] M모니터링맨 25.04.15 233 0
뉴스/정책 제 3차 동물복지 종합 계획 (2025~2029)[0] M드루이드 25.04.02 257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2탄 - 해양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4.02 220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1탄 - 육상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3.16 234 0
글쓰기

🚨게시글 신고🚨X

글제목

작성자

신고자

※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허위 신고는 활동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

📨 쪽지보내기X

닉네임

닉네임 확인하기

* 닉네임을 정확히 입력해야 쪽지가 발송됩니다.

쪽지 내용 ( 0 / 500 by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