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뉴스/정책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댓글 0

조회 63

2025-06-24 15:05:28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 왜 우리는 여전히 10만 마리를 유기하고 있을까? "


 

과거에 비해 동물에 대한 인식이 올라왔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매년 약 10만 마리의 반려동물이 유기되고

 

그 중 절반에 가까운 5만 마리가 안락사되고 있습니다.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출처 : 데일리벳신문 ,유기동물 4년 연속 줄었지만 관리비용 대폭 증가..연간 374억 소요)

 

 

 

 

발생 수가 4년동안 감소했음에도 여전히 11마리나 발생중이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 센터 운영비 등으로 지출되는 세금이 

 

연간 3~ 400억 가량 소요되고 있고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동물복지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가 감당해야 할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렇게 많은 동물을 버리게 되었고

 

이를 줄이기 위해 어떤 대책을 강구해야 해야 할까요?

 

 

 

 

※ 우리 사회가 유기동물을 쉽게 만들어버리는 구조

 

 

 

 

1.  법적인 처벌이 잘 이뤄지지 않는 점.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현행법상 동물유기 등 동물보호법 위반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 있지만  

 

문제는 실질적인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다는 것 입니다.

연간 10만 마리의 유기동물이 발생하는데도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입건되는 건수는 1천여 건에 불과하며, (약 1%)

 

실제 처벌까지 이어지는 사례는 이 중에서도 극히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물론 야생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유기동물로 집계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사실상 위반을 하더라도 처벌을 받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동물을 유기하는 이들에게 '버려도 큰 문제는 없다.'라는 메시지를  주는 셈입니다.

 

 


 

2.  반려동물 등록 방법의 문제 (내장칩/외장칩)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현행법상 반려동물 등록 시, 외장칩과 내장칩 모두 등록이 가능한데 ,

 

외장칩 경우 목줄에서 쉽게 떼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외장칩으로 동물을 등록할 경우 유기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부족합니다.

 

, 외장칩등록한 견주가 이를 떼어버리고 유기한다면 주인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하여 반려동물 선진국이라 불리우는 유럽국가들은 


동물 등록 시 내장칩으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3. 동물의 존재를 추적할 수 있는 인프라가 없습니다.

 


반려동물 등록 의무화 2014년도부터 도입 되었지만


지자체, 국가기관 등 등록된 반려동물에 대해 사후관리가 아예 안되고 있습니다. 

 

동물이 죽더라도 신고의 의무가 없고, 반려동물을 유기를 하더라도 

 

이를 추적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이 아예 없습니다. 


 

 

 

 

요약하자면,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반려동물을 유기해도


1) 추적이 거의 불가하고,  

 

2) 정부도 관리를 안하고 있고

 

3) 만약 유기 사실이 걸리더라도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그렇다면, 유기동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려면

 

어떤 정책이 도입되어야 할까요? 

 

 

 

 

 

 

※ 유기동물 방지를 위한 대책 

 

 

1. 내장칩 등록 의무화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모든 사람은 반드시 내장형 동물등록칩을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제는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어야 하며, 외장칩 등록은 폐지되어야 합니다.

등록된 내장칩을 통해 유기 여부를 명확히 추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동물 유기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2. 동물병원과 지자체의 연계 시스템 구축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반려동물의 진료 기록은 등록된 내장칩과 정보를 공유하여 

 

동물병원 진료 시 자동으로 등록되게끔 하고,

 

이 정보는 지자체와 연동되도록 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동물 등록 후 3년 이상 진료 기록이 없다면

 

해당 반려동물의 유기 여부를 조사하는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는 동물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유튜브 채널 크랩, 10만 원씩만 걷어도"…반려동물 보유세, 다시 불붙은 이유|크랩

 

1년에 1만 원 수준의 소액 세금이라도 부과해

 

반려동물 보호에 필요한 행정 예산을 마련하고 동시에 

 

반려동물을 '생명'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이 세금은 지자체가 유기동물 보호소 운영예방 캠페인중성화 수술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결국 키우는 사람이 버리기 때문이죠. (물론 모든 이들이 그렇다는 것은 아닙니다.)

 

보유세가 도입된다면 적어도 동물 분실신고와 사망신고율은 훨씬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유기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 및 처벌 건수 증가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처벌 건수를 증가하게끔 하려면 

 

"유기행위"에 대한 정의를 조금 더 확실하게 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반려동물을 위탁 업소에 맡기고 찾아가지 않는 경우도 유기 행위로 규정한 것 처럼.)

 

그리고 벌금 몇백만 원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처벌입니다. 

 

처벌 수위보다 처벌 건수를 늘리게 된다면, 

 최소한 범죄라는 인식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야 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속과 교육이 병행될 때, 사람들의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도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입니다.

 

 


 

 

 

5. 반려동물 분실 신고 의무화 홍보 및 처벌 강화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출처 : 데일리벳 )

애초에 등록 안된 유기견도 있겠지만..

 

분실신고, 유실·유기견의 1.3%에 그쳐

 

 

반려동물이 사라졌을 경우, 반드시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의무화 제도가 있지만,

 

웬만한 사람들이 이를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기를 예방하기 위해선, 실질적인 처벌과 함께 

 

정책적인 홍보도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신고가 법적 의무가 되면자연스럽게 책임감 있는 반려 문화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마치며.

 

유기동물이 줄어든다면 당연 안락사 당하는 동물의 비율도 줄어들 것 같습니다.

 

매년 11마리의 유기동물이 생겨나고 있으며,

 

안락사되는 개체는 2만마리가 넘는 상황입니다... 

 

유기동물이 생기고 난 다음 관리를 하는게 아니고,

 

애초에 유기동물이 생길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는것이 우선인게 아닌가 싶습니다.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댓글 💬 0

💬 댓글 작성 ( 0 / 500 byte )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2탄, 반려동물 서비스 플랫폼 -[0] M드루이드 25.07.04 33 0
콘텐츠 반려동물 플랫폼을 알아보자 - 1탄, 반려동물 이커머스 -[0] M드루이드 25.07.03 44 0
동물이야기 날지 못하는 앵무새가 있다? 카카포[0] M모니터링맨 25.06.26 58 0
뉴스/정책 연간 유기동물 10만마리, 유기동물 감소를 위한 대책은...? [0] M드루이드 25.06.24 63 0
동물이야기 황폐한 사막의 요정, 사막여우[0] M모니터링맨 25.06.23 50 0
강아지 Tip 강아지 고가의 고난이도 수술 종류와 수술비[0] M드루이드 25.06.10 108 0
콘텐츠 국내 동물보호 단체들을 알아보자 - 국내 동물보호단체 리스트와 후원 규모 -[0] M드루이드 25.06.10 87 0
자연이야기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 (생태계의 순환) [0] M드루이드 25.05.30 103 0
동물이야기 호주의 주머니 동물들 (캥거루, 왈라비, 쿼카 등) [0] M드루이드 25.05.15 147 0
동물이야기 하루 20시간을 자는 동물 코알라[0] M모니터링맨 25.04.24 166 0
동물이야기 엄청난 점프력의 소유자 퓨마[0] M모니터링맨 25.04.15 183 0
뉴스/정책 제 3차 동물복지 종합 계획 (2025~2029)[0] M드루이드 25.04.02 189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2탄 - 해양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4.02 179 0
동물이야기 야생동물들의 크기, 1탄 - 육상 동물의 크기[0] M드루이드 25.03.16 188 0
뉴스/정책 반려동물 언론사를 알아보자 ! (반려동물 관련 신문사)[0] M드루이드 25.03.08 220 0
동물이야기 깊은 바다 속 미스터리 심해어[0] M모니터링맨 25.02.19 252 0
동물이야기 최강의 수생 사냥꾼 자이언트 수달[0] M모니터링맨 25.02.12 245 0
강아지 Tip 강아지를 키우면 돈이 얼마나 들까? - 강아지 월 평균 양육비[0] M드루이드 25.02.12 612 0
동물이야기 아프리카 강을 지배하는 끝판왕 나일악어[0] M모니터링맨 25.02.05 195 0
동물이야기 세계에서 가장 큰 사슴 - 말코손바닥사슴(무스)[0] M드루이드 25.02.04 274 0
글쓰기
검색

🚨게시글 신고🚨X

글제목

작성자

신고자

※ 다수의 신고를 받은 게시물은 삭제처리 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허위 신고는 활동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

📨 쪽지보내기X

닉네임

닉네임 확인하기

* 닉네임을 정확히 입력해야 쪽지가 발송됩니다.

쪽지 내용 ( 0 / 500 byte )